RA

의료기기 RA와 QA 직무의 차이점과 유사점, 그리고 겸직 가능성

MDRA CAT 2025. 2. 4. 16:53
728x90

의료기기 산업에서 RA(인허가, Regulatory Affairs)와 QA(품질보증, Quality Assurance) 직무는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두 직무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의료기기의 전주기(개발-제조-출시-사후관리)에서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역할과 업무 범위에서는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본 글에서는 RA와 QA 직무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살펴보고, 이 두 직무를 겸직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해 논의하겠습니다.


1. RA(인허가) 직무

1.1 주요 역할

RA 담당자는 의료기기가 각국의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인허가 절차를 수행합니다.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규제 분석 및 인허가 전략 수립: 각국의 의료기기 규제(예: 미국 FDA, 유럽 CE, 한국 MFDS)에 대한 분석 및 전략 수립
  • 기술문서 작성 및 제출: 제품 설명서, 임상·비임상 데이터, 위험 분석 문서 등 인허가 서류 준비
  • 법규 및 가이드라인 준수: 국제 규격(ISO 13485, ISO 14971, IEC 62304 등) 및 각국 의료기기법 준수
  • 업데이트 및 변경 관리: 제품 변경 사항이 발생할 경우, 규제 대응 및 갱신
  • 해외 인허가 대응: 글로벌 시장 진출 시, 각국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인증 및 허가

1.2 필수 역량

RA 업무는 법규 해석 능력, 문서 작성 능력, 기술적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국제 표준 및 의료기기 법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하며, 규제 기관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필요합니다.


2. QA(품질보증) 직무

2.1 주요 역할

QA 담당자는 의료기기의 품질 시스템(QMS, Quality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ISO 13485 품질 시스템 운영: 품질 매뉴얼, 절차서, 기록 관리
  • 제조 공정 및 품질 관리: 생산 공정 내 품질 모니터링, 검증 및 밸리데이션 수행
  • 내부 감사 및 외부 심사 대응: 내부 품질 감사 수행 및 인증 기관 심사 대응
  • CAPA(시정 및 예방 조치) 관리: 품질 이슈 발생 시 원인 분석 및 조치 수행
  • 불만 처리 및 PMS(시판 후 조사): 고객 불만 대응 및 제품 시판 후 조사 진행

2.2 필수 역량

QA 업무는 문서 관리 능력, 공정 이해도, 품질 관리 기준 준수 능력이 요구됩니다. 특히 ISO 13485, ISO 14971, 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등의 품질 관련 표준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3. RA와 QA 직무의 유사점

3.1 규제 및 표준 준수

  • ISO 13485는 의료기기 품질경영시스템으로 RA와 QA 모두 이 표준을 기반으로 업무를 수행합니다.
  • ISO 14971(위험관리) 또한 RA에서는 인허가를 위한 위험 분석의 근거로, QA에서는 제품 품질 및 안전성 관리를 위한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3.2 문서 작성 및 관리

  • RA는 기술문서(TD, Technical Documentation)를 작성하고, QA는 품질문서(QMS 문서 및 절차서)를 관리합니다.
  • 두 직무 모두 제품의 일관된 품질 및 규제 준수를 증빙하는 문서 업무를 수행합니다.

3.3 내부 및 외부 감사 대응

  • RA는 규제 기관(식약처, FDA, CE 인증기관 등)의 인허가 심사를 준비합니다.
  • QA는 품질 인증 기관 및 고객사의 품질 감사에 대응합니다.

4. RA와 QA 직무의 차이점

구분 RA (인허가) QA (품질보증)
목표 규제 준수를 통한 시장 진입 제품 품질 유지 및 지속 개선
주요 기준 의료기기법, FDA 21 CFR, MDR, ISO 13485, IEC 60601 등 ISO 13485, GMP, CAPA, 내부 감사
업무 초점 제품이 각국의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지 확인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고 유지하는 시스템 운영
문서 관리 기술문서(TD), 인허가 서류 품질문서(QMS, SOP, CAPA)
관련 부서 협업 연구개발(R&D), 영업, 마케팅 생산, 공정, 물류, A/S 부서
감사 대응 규제 기관 및 인증기관 심사 내부 품질 감사 및 외부 고객사 감사

 


5. RA와 QA 직무의 겸직 가능성

의료기기 산업에서는 RA와 QA 직무가 서로 긴밀하게 협력해야 하므로, 소규모 기업에서는 RA와 QA를 겸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겸직 시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5.1 겸직이 가능한 경우

  •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인력이 부족한 경우, RA 담당자가 ISO 13485 운영과 품질관리까지 담당하기도 합니다.
  • 업무의 일부 중복 가능: RA가 인허가 문서 작성 시 품질 데이터를 활용하며, QA가 인허가 심사를 준비할 수도 있습니다.

5.2 겸직 시 어려움

  • 업무량 증가: RA와 QA 모두 문서 작업이 많아 겸직할 경우 과중한 업무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전문성 유지의 어려움: RA는 법규 해석이 중요하고, QA는 공정 및 품질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한 사람이 두 가지 역할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이해관계 충돌 가능성: RA는 신속한 제품 출시를 목표로 하지만, QA는 품질 개선을 위해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RA와 QA는 의료기기의 규제 준수와 품질 관리를 담당하는 핵심 직무로, 서로 긴밀하게 협력해야 합니다. 두 직무는 문서 작성, 규제 준수, 감사 대응 등의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지만, 목표와 업무 초점이 다릅니다.

소규모 기업에서는 RA와 QA를 겸직하는 경우가 많지만,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으면 업무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규모와 업무 범위에 따라 겸직 여부를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궁극적으로, RA와 QA가 유기적으로 협력할 때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시장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의료기기 RA QA 차이

 

728x90

'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기기 RA(Regulatory Affairs) 직무의 역할과 책임  (0) 2025.02.04